코드스피치 ES6+ 디자인패턴과 뷰패턴 3회차 정리

February 12, 2021

Loop Pattern

  1. Iterator Pattern
    • 동일한 구조의 반복
    • Iteration은 언어에서 이미 제공 별도(Array, Set, Map, ...)
  2. Composite Pattern
    • 알고리즘 전개에 따른 반복(Recursion 재귀)
    • 재귀호출을 이해했다 → 컴포지트 패턴

COMPOSITE PATTERN은 언제 쓸까?

  • 좌측 트리메뉴에 추가해주세요! → 좌측 트리메뉴에 아이콘/depth 추가 해주세요 ㅠㅠ
  • 계속해서 요구사항이 증가된다 → 컴포지트패턴으로 해결!!
  • 함수를 구현하게 된다며, 상태를 가지고 있지않기 때문에 요구사항이 늘어날수록 인자가 늘어남
  • 객체화 시켜 재귀하는 로직을 감추는게 컴포지트 패턴이다

Microsoft TODO List와 비슷한걸 만들면서 배워보자

  1. Domain 파악

    • 리스트 안에 여러개의 TODO Task 항목들

      도메인 훈련 : 화면(기획서)을 보고 데이터가 어떻게 생겼을까? (네이버 화면보고 HTML 파악)

      도메인을 파악하는 방법 (데이터베이스 기준)

      1. 행위가 명사로 표현한다 → 엔티티(데이터 저장)
        • 엔티티 후보 : TODO List, TODO Task
        • 프론트앤드 관점에서 보면 하나의 객체로 표현할 수 있다 ⇒ 클래스
      2. 행위를 동사로 표현한다 → Behavior ?
  2. 시나리오 작성 (개발 70% 완료)

    • 시나리오를 보고 추측 할 수 있는 법(코드에는 없지만, 모델링을 한다)

      • 날짜는 현재시간 저장하는구나....

      • 리스트의 색상과 배경이 있는데, 기본값으로 설정되는구나...

        const list1 = new TaskList('비사이드')
        list1.add('지라 설치')
        list1.add('지라 클라우드 설치')
        
        const list2 = new TaskList('s75')
        list2.add('2강 답안 작성')
        list2.add('3강 답안 작성')
        
        console.log(list1.byTitle())
        console.log(list2.byDate())

      추측하는 것 → API 설계라고 한다

      1. API 설계는 구조적인 설계와 다르다.
      2. 어떻게? 나의 프로그램의 결과(기능과 데이터)를 사용할 것인가?
      3. 사람들이 인식하기 쉽게! 사용하기 쉽게! 설계해야 한다
      4. 결국 이름이 제일 중요하다!!(상향식에서 리펙토링으로 만들자 : add → addTask)
  3. Concrete Class (구현)

    • 엔티티를 파악하고 최대한 의존성이 없는것부터 작성한다(list 보다 task)

    • 기능상의 필요한 점을 보고 api를 도출한다 (정렬 기준 : taskSort의 sortTitle, sortDate)

      • 대부분의 api는 본인의 내장을 까지않고 캡슐화를 제공하기 위해서 (sortTitle, sortDate)

        캡슐화 - 밖에 나의 행동을 추상적으로 표현한다 (ATM에서 돈 뽑는것) 은닉 - 감추는 행위

    • 기본적인 행동(behavior) : toggle

      const Task = class{
        sortTitle(task){
          return this._title > task._title;
        }
        sortDate(task){
          return this._date > task._date;
        }
      	toggle () {this._isComplete = !this._isComplete}
      }
      const taskSort = {
        title : (a, b) => a.sortTitle(b),
        date: (a, b) => a.sortDate(b)
      }
      ....
  4. 테스크의 서브 테스크의 형태(Optional)

    • sub 항목이 없어도 똑같은 데이터 구조로 나타낸다.

    • 리스트에 task를 추가하는 행위 === task에 sub task를 추가하는 행위

    • 행위는 추상적이라 인식하기 어렵다 (데이터가 일치하는게 아니라, 행위가 일치한다) ⇒ 메서드 복사

      모델링 : 현상을 보고 데이터의 구조를 찾아내는것

      const list = list2.byDate()
      list[1].task.add('코드정리')
      list[1].task.add('다이어그램정리')
    • 리스트의 배열은 task의 집합

      const Task = class {
        constructor (title, date) {
          ...
          this._list = []
        }
      
        add (title, date = Date.now()) {this._list.push(new Task(title, date))};
      
        remove (task) {
          const list = this._list
          if (list.includes(task)) list.splice(list.indexOf(task), 1)
        }
      
        _getList (sort, stateGroup) {
          const list = this._list, s = taskSort[sort]
          return {
            task: this,
            sub: !stateGroup ? [...list].sort(s) : [
              ...list.filter(v => !v.isComplete()).sort(s),
              ...list.filter(v => v.isComplete()).sort(s)
            ]
          }
        }
      
        ...
      }
      
      const TaskList = class {
        constructor (title) {
          ...
          this._list = []
        }
      
        add (title, date = Date.now()) {this._list.push(new Task(title, date))};
      
        remove (task) {
          const list = this._list
          if (list.includes(task)) list.splice(list.indexOf(task), 1)
        }
      
        _getList (sort, stateGroup) {
          const list = this._list, s = taskSort[sort]
          return (!stateGroup ? [...list].sort(s) : [
            ...list.filter(v => !v.isComplete()).sort(s),
            ...list.filter(v => v.isComplete()).sort(s)
          ]).map(v => v._getList());
        }
        ...
      }
    • 리스트는 테스크를 보여줄 책임 없다 → 테스크가 서브태스크가 보여줄 책임이 있다

      • 나는 호출만 했을 뿐이다!(리스트와 태스크의 내부거래)

      • 어떻게 아느냐? → 함수안에서 호출하는것이라서 밖에서는 모른다 (캡슐화)

      • 테스크에게 해당 테스크를 보여줄 역할을 위임 v => v._getList()

          _getList (sort, stateGroup) {
            const list = this._list, s = taskSort[sort]
            return (!stateGroup ? [...list].sort(s) : [
              ...list.filter(v => !v.isComplete()).sort(s),
              ...list.filter(v => v.isComplete()).sort(s)
            ]).map(v => v._getList()); // 내부거래
          }

만약 서브의서브의서브의....테스트라면?

  1. 모델링 (현상을 보고 데이터의 구조를 찾아내는것)

    • 아래와 같은 데이터의 형태를 설계해야 하는것이 먼저다!(모델링)

    • 부모 클래스를 만들자 → 상속을 통해 공통코드(중복)을 제거

    • 복잡한 모델을 가지고 와서 앱 전체를 표현하는것(우리의 목표)

      {
        item: 's75',
        children: [
          {
            item: taskItem('3강교안작성'),
            children: [
              {
                item: taskItem('코드정리'),
                children: [
                  {
                    item: taskItem('subsub1'),
                    children: []
                  }
                ]
              }
            ]
          }
        ]
      }
  2. 실무에서는 꼬리에 꼬리를 물고 재귀가 확산한다 (하노이는 같은 것만 재귀)

    • 컴포지트 패턴을 이용해서 재귀 문제를 풀어낸다!

    • 단, 컴포지트 패턴은 depth가 깊으면, stackoverflow가 발생가능성 높다

    • 컴포지트 패턴 핵심은 동일한 함수을 통해 부모와 자식의 문제를 해결한다!

      • 본인이 처리할 부분과 자식이 처리할 부분이 똑같은 메소드로 처리한다
      • hook을 통해서 자기 자신의 사정을 해결하면 된다.(_getResult 함수)
      • 자식 사정은 getResult로 해결하면 된다(컴포지트 패턴을 파악할 수 있다)
      getResult (sort, stateGroup) {
          const list = this._list
          return {
            item: this._getResult(), // hook
            children: (!stateGroup ? [...list].sort(sort) : [
              ...list.filter(v => !v.isComplete()).sort(sort),
              ...list.filter(v => v.isComplete()).sort(sort)
            ]).map(v => v.getResult(sort, stateGroup)) // 컴포지트 패턴이구나
          }
        }

Composition Rendering

  1. 컴포지션은 전파된다(데이터가 컴포지션 → 렌더링도 컴포지션)

    • 데이터가 구조가 재귀적으로 되있으니까, 렌더러도 똑같이 재귀적으로 그려야 한다

      모델 Render vs 증분 Render

      1. 모델 Render : 데이터가 변화면, 현재 데이터를 기반으로 전체 다시 그려준다
        • 모델렌더는 mv 계열 프레임워크의 기본
      2. 증분 Render : 필요한 경우에만 다시 만들고 변화가 있으면 업데이트해준다(이벤트 기반)
        • 리엑트는 데이터가 바뀌면, 가상돔의 데이터가 바뀌고 증분을 계산해서 렌더링
        • 효율적으로 계산하기 어렵다(직접은 어렵다... 라이브러리,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자)
  2. 도입함수(기초 렌더링 세팅) + 컴포지션 위임

const DomRender = class {
    constructor(list, parent) {
        this._parent = parent
        this._list = list
        this._sort = Task.title
    }

    add(parent, title, date) {
        parent.add(new TaskItem(title, date))
        this.render()
    }

    remove(parent, task) {
        parent.remove(task)
        this.render()
    }

    toggle(task) {
        if (task instanceof Task) {
            task.toggle()
            this.render()
        }
    }

    render() {
        // 초기세팅
        const parent = this._parent
        parent.innerHTML = ''
        parent.appendChild(
            'title,date'
                .split(',')
                .reduce(
                    (nav, c) => (
                        nav.appendChild(
                            el(
                                'button',
                                'innerHTML',
                                c,
                                '@fontWeight',
                                this._sort === c ? 'bold' : 'nomal',
                                'addEventListener',
                                [
                                    'click',
                                    (e) => (
                                        (this._sort = Task[c]), this.render()
                                    ),
                                ]
                            )
                        ),
                        nav
                    ),
                    el('nav')
                )
        )

        // 컴포지트 패턴
        this._render(parent, this._list, this._list.getResult(this._sort), 0)
    }

    _render(base, parent, { item, children }, depth) {
        const temp = []
        base.style.paddingLeft = depth * 10 + 'px'
        if (item instanceof TaskList) {
            temp.push(el('h2', 'innerHTML', item._title))
        } else {
            temp.push(
                el(
                    'h3',
                    'innerHTML',
                    item._title,
                    '@textDecoration',
                    item.isComplete() ? 'line-through' : 'none'
                ),
                el(
                    'time',
                    'innerHTML',
                    item._date.toString(),
                    'datetime',
                    item._date.toString()
                ),
                el('button', 'innerHTML', 'remove', 'addEventListener', [
                    'click',
                    (_) => this.remove(parent, item),
                ])
            )
        }
        const sub = el(
            'section',
            'appendChild',
            el('input', 'type', 'text'),
            'appendChild',
            el('button', 'innerHTML', 'addTask', 'addEventListener', [
                'click',
                (e) => this.add(item, e.target.previousElementSibling.value),
            ])
        )
        children.forEach((v) => {
            this._render(sub, item, v, depth + 1)
        })
        temp.push(sub)
        temp.forEach((v) => base.appendChild(v))
    }
}

참고사항

  1. 함수의 시그니처란
    • Parameter의 value와 type
    • 반환값과 타입
    • Exception

© 2023, Customized by J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