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드스피치 ES6+ 디자인패턴과 뷰패턴 4회차 정리

February 13, 2021

Composite Pattern의 확산 ⇒ 중복

  • 데이터 구조를 컴포지트로 만들면 활용하는 쪽까지 컴포지트가 된다.

  • Task 데이터 컴포넌트 구조 → Renderer 컴포넌트 구조 (행동의 중복)

    • 행위가 중복이다 → 컴포지트는 개발하기 어렵다
    • 컴포지는 행동은 테스크만 가지고 있으면 되지 않나? 왜 렌더까지?
    // Task 컴포넌트 패턴
    getResult (sort, stateGroup) {
        ...
        return {
          ...
          children: ([...]).map(v => v.getResult(sort, stateGroup))
        }
      }
    
    // Renderer 컴포넌트 패턴 (_render)
    _render (base, parent, { item, children }, depth) {
        ....
        children.forEach(v=>{this._render(sub, item, v, depth + 1)});
        ...
      }
  • Renderer 그림만 그릴래(순회하기 싫어 → 행위를 정의하고 싶지 않아 → 순회는 내역할 아니다)

  • 순회시켜줘 → 거기에 방문해서 하고 싶은것만 할래 ⇒ 비지터 패턴

  • 비지터를 사용하는 이유

    • 컴포지트를 쓰면 전파 → 오염 / 반복 (참조하고 있는 모두가 컴포지트 구현)
    • 한쪽이 컴포지트이거나, 액션을 추가하거나, 그 액션에 따라서 무엇을 하고 싶으면 비지터로 처리
    • Task가 컴포지트면, Render 의 액션은 비지터로 처리하자 ⇒ 분리하자!!
    • 컴포지트 패턴이 나오면 무조건 비지터 패턴이 나온다

VISITOR PATTERN

  1. Task 클래스 accpet 메서드 구현 → 컴포지트가 확산이 된다 (accept를 다시 호출)

    • 부모 계층에서 자료구조를 생성하기 때문에(캡슐화 ⇒ getResult )
    • 자식 계층에서는 똑같다 ( visitor pattern 전과 동일)
    // Task Class
    accept(sort, stateGroup, visitor){
        visitor.start(sort, stateGroup, this);
        this.getResult(sort, stateGroup).children.forEach(
          ({item}) => item.accept(sort, stateGroup, visitor)
        );
        visitor.end(); // 상위 노드로 이동하기 위해서
    }
    
    // Renderer Class
    render () {
        this._visitor.reset()
        this._list.accept(Task[this._sort], true, this._visitor)
    }

    트랜잭션이란 ⇒ 암묵적인 순서가 강제된 메서드

    • start와 end사이에 자식들의 컴포지션 처리가 들어가야한다는 암묵적인 순서가 존재
  2. DOMRender 로직은 Dom + Render이다.

    • Render가 그림을 그리는 일반적인 로직은 다 가지고 있다. 구체적인 로직은 비지터한테 넘기자

    • Render의 역할

      • 테스크와 협조하여 테스크에 대한 그림을 그릴 수 있게! 비지터를 중계하는 행위
      • 더이상 렌더러의 자식이 필요없다?
        • native API(DOM)때문에 구현했는데, Renderer가 Visitor에게 그 역할(자식클래스)을 이관
        • 렌더러에서 돔에 대한 로직을 없어졋다
        • 렌더러는 테스크랑만 놀자, 그리고 중계만 하자
      const Renderer = class {
        constructor (_list = err(), _visitor = err()) {
          prop(this, { _list, _visitor: prop(_visitor, { renderer: this }), _sort: 'title' })
        }
      
        add (parent, title, date) {
          if (!is(parent, Task)) err()
          parent.add(new TaskItem(title, date))
          this.render()
        }
      
        remove (parent, task) {
          if (!is(parent, Task) || !is(task, Task)) err()
          parent.remove(task)
          this.render()
        }
      
        toggle (task) {
          if (!is(task, Task)) err()
          task.toggle()
          this.render()
        }
      
        render () {
          this._visitor.reset()
          this._list.accept(Task[this._sort], true, this._visitor)
        }
      }
      
      const DomVisitor = class extends Visitor {
        constructor (_parent) {
          super()
          prop(this, { _parent })
        }
      
        reset () {
          this._current = el(sel(this._parent), 'innerHTML', '')
        }
      
        start (sort, stateGroup, task) { // operator
          if (!is(this._renderer, Renderer)) err()
          switch (true) {
            case is(task, TaskItem):
              this._item(task)
              break
            case is(task, TaskList):
              this._list(task)
              break
          }
          this._current = this._current.appendChild(el('section',
            '@marginLeft', '15px',
            'appendChild', el('input', 'type', 'text'),
            'appendChild', el('button', 'innerHTML', 'addTask',
              'addEventListener', ['click', e => this._renderer.add(task, e.target.previousElementSibling.value)]
            ))
          )
        }
        end () { // operator
          this._current = this._current.parentNode;
        }
      
        _list (task) {
          this._current.appendChild(el('h2', 'innerHTML', task.title))
        }
      
        _item (task) {
          [
            el('h3', 'innerHTML', task.title, '@textDecoration', task.isComplete() ? 'line-through' : 'none'),
            el('time', 'innerHTML', task.date.toString(), 'datetime', task.date),
            el('button', 'innerHTML', task.isComplete() ? 'progress' : 'complete', 'addEventListener', ['click', _ => this._renderer.toggle(task)]),
            el('button', 'innerHTML', 'remove', 'addEventListener', ['click', _ => this._renderer.remove(parent, task)])
          ].forEach(v => this._current.appendChild(v));
        }
  3. DomVisitor _item 메소드에 this._renderer를 넣어준 이유 ?

    • Task에 대한 관리는 Renderer가 가지고 있기 때문에 Renderer에서 처리해준다

    • Renderer에게 테스크를 중계해주는 역할을 위임하기 위해( add, remove toggle )

      코드의 가독성은 알고리즘의 감춰지고, 커뮤니케이션이 일어날때 확보된다!

      • 변수의 이름이 좋다고 해서 가독성이 높아지는 것이 아니다.
      • 그 의미가 확실하도록, 함수화 시키거나, 객체화를 시켜라
      • 로직을 바라보는게 아니라, 커뮤니케이션을 바라보게 된다(readable code)
  4. Task를 순회 하면서 Visitor를 자기 노드에 초대해서 렌더링!

    render () {
        this._visitor.reset(); //라이프사이클
        this._list.accept(Task[this._sort], true, this._visitor);
      }
  5. Visitor의 라이프 사이클은 reset 후에 start end를 반복합니다.

    • DomVisitor 역할은 start, end에 초대하서 그림만 그릴 게(컴포지트 로직이가 없다 → 테스크만 잇다)
    • DOMRender의 애매모호하게 가지고 있던 리스크 최초 초기화 및 관리 기능이 없어졋다.
    accept(sort, stateGroup, visitor){
        visitor.start(sort, stateGroup, this);
        this.getResult(sort, stateGroup).children.forEach(
          ({item}) => item.accept(sort, stateGroup, visitor)
        );
        visitor.end();
      }

객체가 어떠한 단계별로 실행이 될때, 실행되는 단계가 확정되있음 → LifeCycle

  1. 본인 자체가 Visitor가 되면 되는데 왜? DomVisitor를 구현햇나요?

    • 변화율에 따라 따로 분리했다 변화율 때문에
    • 렌더러 로직이 바뀔 경우는 없다(왜? 테스크의 데이터에 대한 로직이기 떄문)
    • 돔 비지터는 폰트/이미지가 바뀐다!! 변화율이 높다

    변화율이 다를때는 파일 채로 건들지 않게 해야 효과적이다.

    • 만약? Renderer를 수정하게 된다면, 데이터 로직에 대해서도 다 테스트해야한다
    • DomVisitor만 수정하면 DomVisitor만 테스트만 하면 된다.
    • 변화율이 역할의 정체다→ 역할을 나누는 기준은 변화율이 큰 부분이다.

start와 end 사이에서 구현을 해야한다라는 암묵적인 룰 (Operator사용 제약)

Visitor의 start(), end()가 Operator이다

  1. 비지터에 대한 지식이 없는데 컴포지트에서 처리하는게 문제

    • 비지터에만 구제적인 사용 방법에 대해 정의되있다. (start 와 end 사이에서 구현하자)
    • 그 행위를 가지고 있는 애만 알고 잇는 지식 (Visitor만 알고 있는 지식)
    • 메서드(start, end)가 외부 메서드라도 결국에는 실패할 것이다.
  2. accept 안에 getResult가 있다(composite 안에 compositee) → 2단 중복 / 내부 중복

    • Task의 두가지 역할을 가지고 잇다.
      • accept를 받아들이는 visitor를 loop 돌리는 역할
      • 원래 컴포지트의 역할
  3. 역할이 다른 메서드가 다른 메서드를 참조하고 이기 때문에 오염된다.

    accept(sort, stateGroup, visitor){
        visitor.start(sort, stateGroup, this);
        this.getResult(sort, stateGroup).children.forEach(
          ({item}) => item.accept(sort, stateGroup, visitor)
        );
        visitor.end();
      }

Reverse visitor

  • Visitor에 대한 역할은 Visitor가 알아야 하고, TaskList가 getResult을 수행해야 할 역할

    // Renderer class
    render () {
        this._visitor.reset();
    		// List가 vistor를 처리해야 한다는것을 의미한다.
        this._list.accept(Task[this._sort], true, this._visitor)
    }
  • Visitor가 오퍼레이션을 통해 리스트를 받아들이면 더 낫다!!(정답은 아니다 Task에 강하게 바인딩 되있다)

    자료구조가 계속해서 변하고 이걸 처리한 비지터가 안정화되면 Reverse 를 할 필요 없다

  • Visitor가 Task를 알고있는것 (Task가 순수한 모델이면서 변화지 않기 때문)

  • 자료구조가 안정적이면서 뷰를 바꾼다 → 이 application에서는 이게 더 효율적이다.

    render () {
        this._visitor.reset();
        this._visitor.operation(Task[this._sort], true, this._list);
    }
    
    // task에 대해서 강하게 바인딩되있다.
    operation(sort, stateGroup, task) {
        this._start(sort, stateGroup, task);
        task.getResult(sort, stateGroup).children.forEach(
          ({item}) => this.operation(sort, stateGroup, item)
        )
        this._end();
    }

OBSERVER PATTERN

  1. this.render() 중복

    • 데이터/모델에 대한 변경이 확실하 않다(조건을 충족못한다면 실행이 불가)

      • 모델에게 부탁만 했는데, 결과의 업데이트 여부를 확인 불가(캡슐화)
    • 캡슐화를 깨지않고 변화를 밖으로 통제할 방법이 필요해 ⇒ 옵저버

      add (parent, title, date) {
          if (!is(parent, Task)) err()
          parent.add(new TaskItem(title, date))
          this.render()
        }
      
        remove (parent, task) {
          if (!is(parent, Task) || !is(task, Task)) err()
          parent.remove(task)
          this.render()
        }
      
        toggle (task) {
          if (!is(task, Task)) err()
          task.toggle()
          this.render()
        }
  2. Observer Class Concrete

    subject : 신문사 , observer 구독자

    OBSERVER PATTERN 작성시 주의사항

    • 초기작성시, 인자를 보내지말자 ⇒ 통지만으로 충분하다(대부분)
    • 값을 보내면 동기화 문제 및 멀티쓰레드 문제가 생길수도 있다.
    • 값을 꼭 보내야하는 구조이며, 구조의 문제 일 수 도있다.
    const Observer = class {
        observe() {
            override()
        }
    }
    const Subject = class {
        constructor() {
            this._observers = new Set()
        }
    
        addObserver(o) {
            if (!is(o, Observer)) err()
            this._observers.add(o)
        }
    
        removeObserver(o) {
            if (!is(o, Observer)) err()
            this._observers.delete(o)
        }
        // 신문을 뿌리는 행위
        notify() {
            this._observers.forEach((o) => o.observe())
        }
    }
  3. Task의 입장에서는 Observer이자, Subject의 경우기도 하다

    • 다중상속 또는, 상속하나에 다중 소유로 해결한다.

    • 내자신을 참조하는 Observer를 만들어서 Observer를 직접 구현하지 않았지만,

      • 나를 알고있는 Observer를 소유하므로써 Observer에 대응

      • 부모가 자식의 변화를 알려면 항상 리스닝 하고 잇어야 한다 .

        const TaskObserver = class extends Observer {
            constructor(_task) {
                super()
                prop(this, { _task })
            }
            observer() {
                // 자식한테 통보를 받으면 나도 부모한테 notify 해주자
                // 전파 -> 전파
                this._task.notify()
            }
        }
  4. Task 확장 = Subject 상속

    • 내 자식에 옵저버가 되서 자식이 변화하면 나의 notify가 호출된다 (taskObserver)

    • 자식 변화 → 나에게 notify → 부모에게 notify

      const Task = class extends Subject {
        ...
        constructor (_title = err(), _date = new Date) {
          super();
          prop(this, { ..., _observer: new TaskObserver(this) })
        }
        ...
        add (task) {
          ...
          task.addObserver(this._observer); // 등록
          this.notify();
        }
      
        remove (task) {
          ...
          task.removeObserver(this._observer); // 삭제
          this.notify();
        }
      
        ...
      }

참고사항

  • eventDispatcher addEventListner, removeEventListner 안에 들어가는게 Observer이다.
    • 자바스크립트는 함수를 객체로 보내기때문에 가능
  • Observer의 다른 이름 Listner
  • addEventlistener은 옵저버패턴의 확장인 채널 패턴이라고 부른다. (event type에 따라서 옵저버)
  • push observer : subject가 observer로 밀어내고 있다.
    • 적은 노드를 잦은 통신할때
  • pull observer : 브라우저라고 생각 해당 페이지를 브라우저가 요청한다.
    • 많은 노드를 비정기적으로 비동기적으로 상대할때
  • 컴포넌트 패턴 (여러가지 패턴의 활용)
  • forEach, map, filter 함수의 콜백 또한 Visitor 패턴
    • 순회는 array 역할
    • 값만 받으면, 콜백은 처리만 한다!는 것이 역할
    • 결국, 데려가주면 무언가를 할게 (구조, 순회 관심 없음 → 나의 역할이 아니다)

© 2023, Customized by J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