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드스피치 ES6+ 디자인패턴과 뷰패턴 5회차 정리

February 14, 2021

Singleton Pattern : 단 하나의 인스턴스만 생성되고 사용되어 진다.

  1. WeakMap을 통해서 쉽게 구현할 수 있다.

    • Map과 다른점은 객체만 key로 쓸수있다.(Map은 Key가 리터럴)
    • Key에 참조값만 넣을 수 있다! ⇒ Key가 객체이다
    • 어떤 객체를 기반으로 무언가 값을 얻어내고 싶으면, WeakMap 사용
    • weakMap의 내장 메소드를 에러처리

    ES6 부터는 부모 클래스 인스턴스를 만들고 자식을 참조한다 프로토 타입 체인이 아니다 → 인스턴스 방향이 바뀜

    const Singleton = class extends WeakMap {
        has() {
            err()
        }
        get() {
            err()
        }
        set() {
            err()
        }
        getInstance(v) {
            if (!super.has(v.constructor)) super.set(v.constructor, v)
            return super.get(v.constructor)
        }
    }
  2. 생성자 특성을 활용하여 싱글톤 구현

    자바스크립트 생성자 특성 ⇒ new 라는 키워드를 통해 생성자를 호출하면?

    • 리턴값이 원시형이거나 or 없으면 → 새롭개 생성된 객체에 this bind
    • 객체를 반환하면, 반한되는 객체에 this bind
    const singleton = new Singleton()
    
    const Test = class {
        constructor(isSingleton) {
            if (isSingleton) return singleton.getInstance(this)
        }
    }
    
    const test1 = new Test(true),
        test2 = new Test(true),
        test3 = new Test()
    console.log(test1 === test2) // true
    console.log(test2 === test3) // false
    
    class A {
        constructor() {
            return []
        }
    }
    
    // super에 갔다오면 this가 변한다!!!!
    class B extends A {
        constructor() {
            super()
            console.log(Array.isArray(this))
        }
    }
    
    const b = new B() //true

OOP에서 제일 큰 유혹 → static을 만들자

  1. Singleton Class를 static 하게 구현했다?
    • 단 하나 인스턴스만을 만들 수 있다
    • 똑같은 스태틱은 그 인스턴스 하나로 환원된다
  2. 기존의 Singleton Class
    • 상황에 맞게 인스턴스를 만들어, 상황에 맞게 분리할 수 있다.
  3. 객체지향은 컨텍스를 사용한다 ( 컨택스트는 인스턴스에서 발생한다)
    • 클래스 소속된 Static 또한 컨텍스트이긴 하지만.. OOP가 원하는게 아님
    • 인스턴스의 컨텍스트를 원하는거다.
    • 객체들은 객체망을 구성 → 의존성 분리 → 협력을 통해 문제 해결
  4. 언제 유혹에 빠질까????
    • 내가 그 인스턴스의 참조를 줄 방법이 없다. (방법이 없는데 클래스는 어떻게..)
    • 커뮤니케이션을 설계하고 싶지 않을때 그 유혹에 빠진다.
  5. Util 함수는 예외 → 하지만, 과연 Util인지 생각해보자(거의 아님)

MVC - MODEL VIEW CONTROLLER

  1. Controller의 역할

    1. Model 생성(or 가져오거나)

    2. Model의 옵저버 (의존성을 낮추기 위해 Observer Pattern)

      Model의 옵저버 역할

      • Model이 변경되면 Model만 알고 있다 (정확도)
      • View에게 전달하여 새롭게 Render 하기 위해
    3. View 생성 (생성만 하고 처리는 View의 역할)

    4. View에게 Model을 전달

      View에게 Model의 변화를 직접 수신하여 렌더링 하면 되지 않을까?

      • View는 전체 공정중에 일부분만 담당한다
      • Controller가 전체 공정을 다 알고 있다 (제왕적 컨트롤러)
      • Controller의 추가적인 작업(데이터 후처리)이 필요하다(..수도 있다)
    5. View의 액션을 처리 (EventListner 처리)

    Contoller의 역할은 Model을 가지고 View를 그린다

  2. View의 역할

    1. Model에 기반하여 렌더링 처리

    2. 입력의 처리를 컨트롤러에게 위임

      View 누구를 알고 있을까?

      • 그림을 그리기 위해서 Model을 알고 있다. (Controller 에게 받음)
      • 입력(EventListner)을 처리하기 위해 Controller를 알고 있다.
  3. Model 역할 (순수한 데이터 원형)

    1. Model의 변화를 Controller에게 통보
    2. Model이 Subject → Controller가 Model의 Observer (Observer Pattern)
  4. App의 역할

    1. 상황에 따라 Controller 생성
    2. 여러가지 라우팅 정보를 기반으로 Controller 생성
    3. 생성 후 Controller 역할 시작!

MVC, MVM, MVVM 의 차이점은 VIEW 와 MODEL의 관계에서 나온다.

Controller에 추상층을 넣어, Model의 상황에 따라 공급해 주는 서비스


Model

  • 의존성이 없기 때문에 구현하기 쉽다

  • 페이지가 변경되도 똑같은 모델을 움직여야하니까 ⇒ 싱글톤

    const Model = class extends Set {
        constructor(isSingleton) {
            super()
            if (isSingleton) return singleton.getInstance(this)
        }
    
        add() {
            err()
        }
        delete() {
            err()
        }
        has() {
            err()
        }
        addController(v) {
            if (!is(v, Controller)) err()
            super.add(v)
        }
        removeController(v) {
            if (!is(v, Controller)) err()
            super.delete(v)
        }
        notify() {
            this.forEach((v) => v.listner(this))
        }
    }
    
    const HomeDetailModel = class extends Model {
        constructor(_id = err(), _title = err(), _memo = '') {
            super()
            prop(this, { _title, _id, _memo })
        }
        get title() {
            return this._title
        }
        get id() {
            return this._id
        }
        get memo() {
            return this._memo
        }
    }
    
    const HomeModel = class extends Model {
        constructor(isSingleton) {
            super(isSingleton)
            // this singleton
            // 대부분 여기서 어떤 작업?  ajax 통신으로 json 가져와서 parsing
            if (!this._list)
                prop(this, {
                    _list: [
                        new HomeDetailModel(1, 'todo1', 'memo1'),
                        new HomeDetailModel(2, 'todo2', 'memo2'),
                        new HomeDetailModel(3, 'todo3', 'memo3'),
                        new HomeDetailModel(4, 'todo4', 'memo4'),
                        new HomeDetailModel(5, 'todo5', 'memo5'),
                    ],
                })
        }
        add(...v) {
            this._list.push(...v)
        }
        remove(id) {
            const { _list: list } = this
            if (
                !list.some((v, i) => {
                    if (v.id === id) {
                        list.splice(i, 1)
                        return true
                    }
                })
            )
                err()
            this.notify()
        }
    
        get list() {
            return [...this._list]
        }
    
        get(id) {
            let result
            if (!this._list.some((v) => (v.id === id ? (result = v) : false)))
                err()
            return result
        }
    }

View

  • View 싱글톤 (render할때 model을 받아서 처리)
  • Controller는 입력을 처리하고, 모델을 처리하기 위해 존재
  • Controller 메서드명의 분리
    • View가 화면을 그릴때도 메서드가 발동
    • View 액션을 처리할때도 메서드가 발동
const View = class {
    constructor(_controller = err(), isSingleton = false) {
        prop(this, { _controller })
        if (isSingleton) return singleton.getInstance(this)
    }
    render(mode = null) {
        override()
    }
}

const HomeBaseView = class extends View {
    constructor(controller, isSingleton) {
        super(controller, isSingleton)
    }
    render(model = err()) {
        if (!is(model, HomeModel)) err()
        const { _contoller: ctrl } = this
        return append(
            el('ul'),
            ...model.list.map((v) =>
                append(
                    el('li'),
                    el('a', 'innerHTML', v.title, 'addEventListener', [
                        'click',
                        (_) => ctrl.$detail(v.id),
                    ]),
                    el('button', 'innerHTML', 'x', 'addEventListener', [
                        'click',
                        (_) => ctrl.$remove(v.id),
                    ])
                )
            )
        )
    }
}

const HomeDetailView = class extends View {
    constructor(controller, isSingleton) {
        super(controller, isSingleton)
    }
    render(model = err()) {
        if (!is(model, HomeDetailModel)) err()
        const { _contoller: ctrl } = this
        return append(
            el('section'),
            el('h2', 'innerHTML', model.title),
            el('p', 'innerHTML', model.memo),
            el('button', 'innerHTML', 'delete', 'addEventListener', [
                'click',
                (_) => ctrl.$removeDetail(v.id),
            ]),
            el('button', 'innerHTML', 'list', 'addEventListener', [
                'click',
                (_) => ctrl.$list(),
            ])
        )
    }
}

Model이 변경되면 즉시 View에 영향이 끼친다 → 커플링 (MVC 단점)

- View가 Model을 모르게 하는 방법 (디커플링)

  1. View 모든 필드에 대해서 getter/setter를 제공

    • Controller는 View의 getter/setter를 호출하면 끝
      • 위와 같은 Controller를 **Presenter Controller**
    • 장점
      • View가 Model을 모르니, Model의 변화가 View에 영향 X
      • 실제 모델이 없어도, 메서드만 호출하면 View를 만든다
    • 단점
      • View가 커지면 수많은 필드에 getter/setter를 만들어야 한다.
      • ide가 만들어주는데 직접 만들기는 어렵다.
      • 수동적인 View의 형태
    • 이러한 패턴은 MVP라고 부르며, 비쥬얼 베이직, 델파이에서 사용
  2. View가 Model을 알게 하는게 아니라 → 가짜 모델이 View를 알게 바인딩

    • 가짜 모델이 주도적으로 View를 업데이트 한다!

    • 장점

      • View를 가짜 모델을 이용해서 업데이트하여, Model의 변화가 View에 영향 X
      • 가짜모델이 View를 보고 key에 데이터 바인딩을 통해서 업데이트 한다
      • 바인딩하는 엔진이 있으면, getter/setter를 만들지 않아도 된다!
    • 단점

      • View과 가짜 모델과 원할하게 상호작용할 수 있는 시스템 필요(바인딩 엔진)

      • 예시 (Vue.js)

        // v-model을 통해 가짜 모델을 통해 상호작용하여 화면을 그린다.
        // v-model은 View를 바꾸기 위한 이름이지, Model 이름이 아니다
        <input type="checkbox" id="checkbox" v-model="checked">
        <label for="checkbox">{{ checked }}</label>

    가짜 모델은 무엇이며, 어떻게 만들까?

    • 1차 : 서버에서 JSON (실제 Model)

    • 2차 : JSON을 View를 업데이트 하기위한 key로 재정의한 객체 - View를 업데이트하기위해 Model을 재정의하는 것을 **View Model!

    • 가짜 모델 ===** View Model

    • 이러한 패턴은 MVVM라고 부르며, 모던 프론트앤드 프레임워크에서 사용

    Controller

    • 클래스로 구현한다면, 메소드 하나가 화면 하나를 담당

      base() , default() 기본 화면 보여주는 default Method - 디폴트 메서드 이름을 정하는 일반적인 시스템의 룰

      • Home 컨트롤러의 기본 화면을 보여줘 → default Method
    • 화면이나 스테이지를 전환하는 것은 어플리케이션의 역할(라우팅 요청)

      const Home = class extends Controller {
          constructor(isSingleton) {
              super(isSingleton)
          }
      
          base() {
              const view = new HomeBaseView(this, true)
              const model = new HomeModel(true)
              return view.render(model)
          }
      
          $detail(id) {
              app.route('home:detail', id)
          }
      
          $remove(id) {
              const model = new HomeModel(true)
              model.remove(id)
              this.$list()
          }
      
          detail(id) {
              const view = new HomeDetailView(this, true)
              const model = new HomeDetailModel(true)
              return view.render(model.get(id))
          }
      
          $list() {
              app.route('home')
          }
      
          $removeDetail(id) {
              this.$remove(id)
              this.$list()
          }
      }

    App

    1. MVC에서는 App의 라우팅을 통해 화면은 전환한다.
      • 컨트롤러 단에서 화면을 전환할 수 없다.
    2. 라우팅 될때마다 부모를 비우고 컨트롤러의 호출 결과를 넣어준다.
      • 반드시 App을 경유해서 화면을 전환하고 있기 때문
      • 컨트롤러가 화면을 바꾸거나 뷰가 모델을 수신해서 뷰을 갱신하는게 의미없다.

    실무에서는 라우팅을 등록할때, 함수를 등록하는 일반적

    • 두번째 인자의 함수를 주는 이유는 실행할때 어떠한 액션을 추가할 수 있다.
    const App = class {
        constructor(_parent = err()) {
            prop(this, { _parent, _table: new Map() })
        }
        add(k = err(), controller = err()) {
            k = k.split(':')
            this._table.set(k[0], controller)
            ;(k[1] || '')
                .split(',')
                .concat('base')
                .forEach((v) => this._table.set(`${k[0]}:${v}`, controller))
        }
        route(path = err(), ...arg) {
            const [k, action = 'base'] = path.split(':')
            if (!this._table.has(k)) return
            const controller = this._table.get(k)()
            append(
                attr(sel(this._parent), 'innerHTML', ''),
                controller[action](...arg)
            )
        }
    }
    
    const app = new App('#stage')
    app.add('home:detail', (_) => new Home(true))
    app.route('home')

    격리와 역할로 나눠 코드의 수정이 제안된 요건내에서 일어나게 바꾼다.

    모델 뷰 컨트롤러로 나눠서 하나의 화면을 구성하는 이슈를 3가지로 나누었고,

    각각 수정의 각각에서 나오게 만들었다. 이게 MVC

    MVC란? 격리와 역할로 나눠 코드의 수정이 제안된 요건내에서 일어나게! 모델, 뷰, 컨트롤러로 나눠 하나의 화면을 구성하는 이슈를 3가지로! 각각 수정의 각각에서 나오게 만들었다

    Observer

    • listen을 구현해서 각 모델의 notify를 받아서 처리한다.

    Controller에서 View용 리스너를 용어 : action, listner, handler

    const Home = class extends Controller {
      constructor (isSingleton) {super(isSingleton)}
    
      base () {
        const view = new HomeBaseView(this, true)
        const model = new HomeModel(true)
        return view.render(model)
      }
    
      $detail(id){
        app.route('home:detail', id);}
    
      $remove (id) {
        const model = new HomeModel(true)
        model.remove(id)
        this.$list()
      }
    
      detail(id) {
        const view = new HomeDetailView(this, true)
        const model = new HomeModel(true);
        return view.render(model.get(id));
      }
    
      $list () {app.route('home')}
    
      $removeDetail (id) {
        this.$remove(id)
        this.$list()
      }

참고사항

  • 어디에서 불러내고 요청되도 Singleton을 유지해야 한다.

  • 어떤 객체든지, 싱글턴을 만들 방법이 필요하다.

  • App 개발에서 메모리 Context에 따라 대표적인 세가지의 Singleton 형태

    1. Application Memory : 서버가 죽을때까지의 메모리
    2. Session Memory : 유저가 로그인하고 로그아웃 할때까지의 메모리
    3. Request Memory : 하나의 요청당 하나의 메모리
  • 백앤드에서 MVC + rest api가 좋은 이유는?

    • Model이 바뀌면 JSON key/value 만 추가하면 된다
    • View는 프론트앤드 개발자 그려줄거니까 ㅠㅠ

© 2023, Customized by Joon